전체 글

전체 글

    [JAVA-basic] String배열

    [JAVA-basic] String배열

    String배열의 선언과 생성 배열의 타입이 String인 경우에도 int배열의 선언과 생성방법은 다르지 않다. 초기화방법도 마찬가지로 int배열의 초기화방법과 다르지 않다. 다음 예시를 살펴보자. String[] name = new String[3] ; 크기가 3인 String배열 name을 선언 및 생성 String[] name = {"Kim", "Park", "Yi"} ; new String을 생략하고 초기화 할 수 있음 int의 참조형 변수의 기본값은 0이였지만 String배열의 참조형 변수의 기본값은 null이다. 다음 실습프로그램을 보면 String배열의 선언 및 생성 초기화 방법까지 잘 알 수 있다. char배열과 String클래스 지금까지 여러 문자, 즉 문자열을 저장할 때 String타입..

    [JAVA-basic] 배열

    [JAVA-basic] 배열

    배열이란? 배열은 같은 타입의 여러 변수를 하나의 묶음으로 다루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같은 타입'이어야 한다는 것이며, 서로 다른 타입의 변수들로 구성된 배열은 만들 수 없다. 배열의 선언 방식은 다음과 같다. 타입[] 변수이름 ; 타입 변수이름[] ; 배열을 선언한 다음에는 배열을 생성해야한다. 배열을 선언하는 것은 단지 생성된 배열을 다루기 위한 참조변수를 위한 공간이 만들어질 뿐이고, 배열을 생성해야만 비로소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만들어진다. 배열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배열의 타입과 길이를 지정해주어야 한다. 타입[] 변수이름 ; 변수이름 = new 타입[길이] ; 그 다음, 배열의 인덱스에 해당하는 값을 초기화 해주면 되는데, 다음과 같이 배열 생성과 동시에 초..

    [JAVA-basic] 형변환

    [JAVA-basic] 형변환

    형변환이란? 변수 또는 상수의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프로그램을 작성하다보면 서로 다른 타입간의 연산을 수행해야하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때는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 타입을 일치시켜야 하는데, 변수나 리터럴의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변환하는 것을 형변환이라 한다. 형변환 방법은 아주 간단하다. 다음과 같이 변환하고자 하는 변수나 리터럴 앞에 변환하고자하는 타입을 괄호와 함께 적어주면 된다. (타입)피연산자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코드가 있을 때, 변수의 변환과정은 다음과 같다. double d = 14.3; int a = (int)d; // double타입의 변수 d를 int타입으로 형변환 int a = (int)14.3; //변수 d의 값을 읽어 와서 형변환 int..

    [JAVA-basic] 진법

    10진법과 2진법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것은 10진법에 익숙해져있다. 0~9까지의 숫자로 모든 숫자를 표현할 수 있는 것도 10진법을 사용해서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컴퓨터는 2진 체계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2진법을 알지 못하면 컴퓨터의 동작원리나 데이터 처리방식을 이해할 수 없다. 변수에 값을 저장하면 10진수로 저장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컴퓨터는 2진수 밖에 모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2진수로 바뀌어 저장된다. int age = 24; age 25 -> age 11001 비트와 바이트 한 자리의 2진수를 비트(bit)라고 하며, 1비트는 컴퓨터가 값을 저장할 수 있는 최소단위이다. 1비트 8개를 묶어서 바이트(byte)라는 단위로 정의해서 데이터의 기본 단위로 사용한다. 1비트는 한 자리..

    [JAVA-basic] 변수와 상수

    [JAVA-basic] 변수와 상수

    프로그래밍의 기본원리와 자바의 부족했던 문법들을 공부하고자 자바의 정석이라는 책을 구매했다. 평소에 알고있었던 부분은 다시 복습하고, 모르는 것들은 공부하여 발전하고자 책을 구매했으며, 앞으로 공부한 내용들을 JAVA-basic부분에 정리하고자 한다. 오늘은 프로그래밍의 가장기본인 변수와 상수에 대해서 공부해보자. 변수 변수란? 수학에서는 '변하는 수' 라고 정의하지만 프로그래밍언어에서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상의 공간을 의미한다. 변수를 선언하게 되면, 메모리의 빈 공간에 '변수타입'에 알맞은 크기의 저장공간이 확보되고, 앞으로 이 저장공간은 '변수이름'을 통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변수의 명명규칙이 존재한다. 프로그래밍에서 사용하는 모든 이름을 식별자라고하며, 식별자를 만들 때는 다음과 ..